lambda(익명) 함수

    한 줄로 함수를 사용하게 해준다. 주로 함수가 사용할 수 없는 곳에 주로 쓰인다.

 

형태: 변수 = lamda 매개변수: 표현식(인수)

veterinary_clinic = (lamda a, b: a + b)(cat, dog)

#위와 아래는 같은 코드다

veterinary_clinic = (lamda a, b: a + b)
veterinary_clinic(cat, dog)

 

 

 

map 함수

    요소를 하나씩 돌면서 함수에 넣는다.

#형태 : 자료형(map(함수, 자료형(리스트, 튜플)))

#채점을 잘못해서 5점씩 올리기로 했다.
worng_score = [90, 15, 71, 53]

#아래는 잘못된 코드
#map(lambda score: score+5, worng_score)

#리스트를 인자로 넣을 때 map 앞에 리스트나 튜플을 사용해 map의 결과값을 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map object at 0x python라는 에러가 발생



new_score = list(map(lambda score: score+5, worng_score))

print(new_score)

 

 

 

 

reduce 함수

    함수를 실행 한 뒤 이전 결과값에 다시 함수를 누적하여 실행한다.

from functools import reduce

#형태 : reduce(함수, 자료형(리스트, 문자열, 튜플))

alphabet = ['a', 'b', 'c', 'd', 'e']

sum = reduce(lambda x, y: x+y, alphabet)

print(sum)

#ab + c
#abc + d 형식으로 누적으로 결과를 반환

 

 

 

filter 

    결과가 True인 것만 반환한다.

# filter(함수, 자료형(리스트, 튜플))

x = (1, 2, 3, 4, 5, 6, 8)


def func_filter(a):
    return a > 5


list = list(filter(func_filter, x))

print(list)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컴프리헨션(Comprehension)  (0) 2023.03.22
[Python] 패킹과 언패킹  (1) 2023.03.22
[Python] 함수(function)  (0) 2023.03.21
[Python] 반복문  (0) 2023.03.21
[Python] while문  (0) 2023.03.21

함수

    형태

        def func(매개변수a, 매개변수b):

                return a + b

        print(func(인수c, 인수d))

    특징

  • 매개변수(parameter)는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이다.
  • 인수(argument)는 함수를 호출할 때 넘기는 변수이다.
  • 함수의 리턴값은 언제나 하나이다.
  • 매개변수의 디폴트 값(옵셔널 파라미터)을 주면 값이 없으면 디폴트 값, 값을 넣으면 입력한 값이 실행된다.
  • 옵셔널 파라미터는 반드시 마지막에 와야한다.
  • 입력값의 개수에 상관 없이 받는 함수를 만들 수 있다.(패킹과 언패킹)
  • 키워드를 인수로 받아 딕셔너리로 만드는 함수를 만들 수 있다.(패킹과 언패킹)
  • 순서에 상관없이 매개변수의 값을 지정해 줄 수 있다.
  • 변수는 값을 저장하고 함수는 명령을 저장한다.
def phone(a,b):
    return a+b

result = phone(b='S23', a='Samsung')
print(result)  #출력: SamsungS23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패킹과 언패킹  (1) 2023.03.22
[Python] lambda식  (0) 2023.03.21
[Python] 반복문  (0) 2023.03.21
[Python] while문  (0) 2023.03.21
[Python] if 문  (0) 2023.03.21

for 문
    형태 

        for 변수 in 리스트(문자열, 튜플):

                    실행문

    특징

  • 실행문 중간에 continue문을 만나게 되면 맨 처음으로 돌아간다.
  • range함수와 자주 사용된다.
animal = [('dog', 'cat'), ('bird', 'mouse'), ('horse', 'rabbit')]

for (a, b) in animal:
	print(a + b)
    
#튜플도 사용할 수 있다.

 



range 함수

    형태

        range(시작 숫자(생략가능), 끝 숫자-1, 간격(생략가능))
    특징

  • 간편하고 메모리 효율이 좋다.
  • 시작 숫자부터 끝-1 숫자까지 리스트를 만든다.

 

 

enumerate 함수

for idx, value in enumerate(range(2,5)):
    print(idx, value)

#인덱스와 원소를 튜플 형태로 반환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lambda식  (0) 2023.03.21
[Python] 함수(function)  (0) 2023.03.21
[Python] while문  (0) 2023.03.21
[Python] if 문  (0) 2023.03.21
[Python] 자료형-5 불(boolean)  (0) 2023.03.21

while문

    형태

        while 조건문:

                   실행문

 

    특징

  • while의 조건문이 참일 때만 실행하고 거짓이 되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 while문을 강제 종료할 때 break문을 사용한다.
  • while문을 강제 실행할 때 continue문을 사용한다.
  • while문이 항사 True면 무한 루프에 빠지게 되니 주의하자.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함수(function)  (0) 2023.03.21
[Python] 반복문  (0) 2023.03.21
[Python] if 문  (0) 2023.03.21
[Python] 자료형-5 불(boolean)  (0) 2023.03.21
[Python] 자료형-4.5 집합(set)  (0) 2023.03.21

if문

    형태

        if 조건문:

                실행문

        elif 조건문:

                실행문

        else:

               실행문

 

    특징

  • if의 조건문이 True이면 if의 실행문을 출력한다.
  • if not True는 조건이 False,  if not False는 조건이 True이다.
  • 탭이나 스페이스 한 가지만 사용해야 한다. 혼용해서 사용하면 에러가 날 수 있다.
  • 조건문에서는 비교연산자와 and, or, not 그리고 in과 not i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in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면 True를, not in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면 False를 반환한다.
  • 실행문에서 아무것도 실행하고 싶지 않다면 pass를 사용한다.

        * = 는 지정연산자라고 한다.

string = ''

if not string:
	print('문자를 입력하세요')
else:
	print('문자열이 맞습니다')

#string이 False 앞에 not이 붙어 True이므로 if문이 실행됨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반복문  (0) 2023.03.21
[Python] while문  (0) 2023.03.21
[Python] 자료형-5 불(boolean)  (0) 2023.03.21
[Python] 자료형-4.5 집합(set)  (0) 2023.03.21
[Python] 자료형-4 딕셔너리(dictionary)  (0) 2023.03.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