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자료구조(데이터) + 알고리즘

 

추상화란?

    필요한 정보만 코드로 옮긴 것을 말한다.

 

 

 

자료구조

    데이터가 저장된 형태. 어떻게 자료를 저장해야 효율적일까?

알고리즘

    해결을 위한 방법.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지?

  • 자료구조는 메소드로 탐색, 삽입, 삭제의 연산이 들어가야 한다.
  • 알고리즘을 구현하려면 자료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언젠가 들었던 글귀이다. 이름이 다르면 다른거다. 혼용해서 쓰고 있는 단어들도 자세히 들어가면 다른점을 분명하게 가지고 있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넓게 보는 시각은 분명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개념이 잡혔다면 디테일을 잡아야한다.

 

 



클래스

  • 객체는 인스턴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Setter는 값을 수정, Getter는 값을 조회하는 메소드를 말한다.
  • 인스턴스가 속성을 조회하거나 삭제하려면 메소드를 거쳐야 한다.
  • 보안과 데이터 변조 위험성 때문이다.
  • 파이썬은 접근지정자(public, private 등)가 없다.
  • 메소드 앞에 __(언더바 2개)를 붙여 은닉화한다.
  • 재귀호출(Recursion)은 함수 또는 메소드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말한다.
  •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 데이터를 보관하는 곳을 노드(Node)라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