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 True와 Fales 두가지 값만 갖는 자료형이다.
  • 0, None과 문자열, 리스트, 딕셔너리 등은 빈값을 가지고 있으면 False 값을 갖는다.
  • while문, if문 함께 이해하는 것이 좋다.

 

불 연산자

    and,  or,  not

 

https://winterakoon.tistory.com/56

 

if 문

if문 형태 if 조건문: 실행문 elif 조건문: 실행문 else: 실행문 특징 if의 조건문이 True이면 if의 실행문을 출력한다. if not True는 조건이 False, if not False는 조건이 True이다. 탭이나 스페이스 한 가지만

winterakoon.tistory.com

https://winterakoon.tistory.com/58

 

while문

while문 형태 while 조건문: 실행문 특징 while의 조건문이 참일 때만 실행하고 거짓이 되면 조건문을 빠져나간다. while문을 강제 종료할 때 break문을 사용한다. while문을 강제 실행할 때 continue문을 사

winterakoon.tistory.com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while문  (0) 2023.03.21
[Python] if 문  (0) 2023.03.21
[Python] 자료형-4.5 집합(set)  (0) 2023.03.21
[Python] 자료형-4 딕셔너리(dictionary)  (0) 2023.03.21
[Python] 자료형-3.5 튜플(tuple)  (0) 2023.03.21

집합

    형태

        변수 = set( )

    특징

  • 중복 제거로 자주 활용된다.
  • 순서가 없어 인덱스 값을 활용할 수 없다.
  •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해야한다.

 

 

1. 교집합

    집합 & 집합

 

2. 합집합

    집합 | 집합

 

3. 차집합

    집합 - 집합

 

 

집합 함수

    집합.add(요소) : 집합에 1개의 값을 추가한다.

    집합.update( ) : 여러개의 값을 한번에 추가한다.

    집합.remove(요소) : 요소를 제거한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if 문  (0) 2023.03.21
[Python] 자료형-5 불(boolean)  (0) 2023.03.21
[Python] 자료형-4 딕셔너리(dictionary)  (0) 2023.03.21
[Python] 자료형-3.5 튜플(tuple)  (0) 2023.03.21
[Python] 자료형-3 리스트  (0) 2023.03.21

딕셔너리
    형태

        변수명 = { }
    특징

  • key와 value 값을 갖는다.
  • 주로 리스트와 함께 사용한다.
  • 순서가 없어 인덱스 값을 활용할 수 없다.

 


 

 

 

딕셔너리 함수


    딕셔너리[key] = value : 딕셔너리 요소를 추가한다.

    del 딕셔너리[key] : 딕셔너리 요소를 삭제한다.

    딕셔너리.clear( ) : 딕셔너리 요소를 모두 삭제한다.

 

    딕셔너리.get('key') : key값으로 value를 가져온다.

    딕셔너리['key'] : key 값으로 value를 가져온다.

        * 차이점은 key값이 존재하지 않을 때, get은 None을 리턴하고 아래는 오류를 내보낸다.

 


    딕셔너리.values( ) : 딕셔너리 값만 돌려준다.
    딕셔너리.keys( ) : 딕셔너리 키만 돌려준다.

    딕셔너리.items( ) : key와 value의 쌍을 튜플로 돌려준다.



    print(value in 딕셔너리.values( )) : key가 딕셔너리 안에 있는지 조사한다.

    print(value not in 딕셔너리.values( )) : key가 딕셔너리 안에 없는지 조사한다.


 

튜플

    형태

        변수명 = ( )

    특징

  • 튜플은 기본적으로 모양과 사용법이 리스트와 유사하다.
  • 차이점은 튜플은 요소의 값을 변경 할 수 없다는 것이다.
  • 1개의 요소를 가질 때는 반드시 요소 뒤에 콤마(,)를 찍어야한다.
  • 요소가 변하지 않아야 할 때 사용한다.

리스트

    형태

        변수명 = [ ]
    특징

  • 인덱스를 초과하는 값은 에러를 낸다.
  • -1이 인덱스 가장 마지막 순서로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 음수도 0번째 인덱스보다 더 앞의 값을 불러오면 에러를 내다.
  • 리스트는 안의 값으로 타고 들어가는 속성이 있다.
  • [ : ] 를 사용하면 리스트를 복사할 수 있다.

 

i = 0 
while i < len(numbers):
    if numbers[i] % 2 != 0:
        del numbers[i]
    i += 1

#number(리스트)가 홀수인 요소를 지워라.
#문제점 : 홀수가 지워지면서 인덱스가 하나씩 당겨짐

i = 0 
while i < len(numbers):
    if numbers[i] % 2 != 0:
        del numbers[i]
    else i += 1
    
#짝수일 때만 i가 하나씩 늘어서 다음 인덱스로 넘어가야 함

 

 

 

 

 

 

 

잊어버릴 때쯤 나오는 강조문

※파이썬은 숫자와 문자의 직접적인 연결이 불가능하다※

 


 

 

 

 

 

리스트 슬라이싱
    리스트[시작 index : 끝 index +1]

    첫 번째 값은 인덱스 값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두번째 값은 인덱스 값에 +1 한 값으로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3번째 인덱스까지 가져오려면 4를 표기해야 한다.

 

 

 


리스트 함수

 

    리스트+리스트 : 앞의 리스트에 뒤의 리스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리스트로 만든다.

    a리스트.extend(b리스트) : a리스트에 b리스트를 더한다.

 


    len(리스트) : 리스트의 길이를 반환한다.

 

   *리스트의 요소를 바꾸고 싶다면 리스트의 요소를 재정의하면 된다.

 

 


    리스트.append(요소) : 리스트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한다.

    리스트.insert(인데스, 요소) : 원하는 인덱스(위치)에 요소를 추가한다.

 

 

    리스트.clear( ) : 전체 리스트를 삭제한다.

    리스트.pop( ) :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를 리턴하고 삭제한다.
    del 리스트[인덱스] : 리스트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요소를 삭제한다.

    리스트.remove(요소) : (중복이 있다면) 요소와 일치하는 첫번째 요소를 삭제한다.

       *del 과 remove의 차이는 del은 인덱스를 찾아 요소를 삭제하고, remove는 요소를 찾아 인덱스를 삭제한다는 것이다.

 

 

    리스트.count(요소) : 리스트 안에 요소가 몇개인지 검색한다.

    리스트.index(요소) : 요소를 검색하여 리스트의 인덱스를 리턴한다.

    print(value in 리스트) : 리스트의 값이 있는지 확인한다. True, Flase로 반환한다.

    print(value not in 리스트) : 리스트의 값이 없는지 확인한다. True, Flase로 반환한다.

 

 

    리스트.reverse( ) : 리스트 요소의 순서를 거꾸로 나열한다.

    numbers.sort( ) : 리스트의 요소를 정렬한다.
    sorted(리스트, reverse=True) : 리스트의 요소를 정렬한다. 

        *sort와 sorted의 차이는 sort는 기존 리스트의 요소를 정렬, sorted는 요소가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리턴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sorted를 사용하고 print(기존 리스트)를 하면 정렬이 반영되지 않는다.

 

 

 

 


 

 

 

 

 

Aliasing
 간단하게 변수가 이름표라고 한다면, 하나의 객체에 여러가지 이름표가 붙은 것을 에일리어싱 되었다고 표현한다.

  *참조나 Class가 궁금하다면 C#으로 찾아보는 것을 추천

 

 *리스트의 요소는 재정의 할 수 있으나, 문자열의 문자는 재정의 할 수 없다.

      리스트[idx] = "난나고"   O
      문자열[idx] = "넌너야"   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