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 변환(Type Casting)
    값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걸 형변환이라고 한다.

  • int( ) : 문자열, 소수 => 정수로 변환한다.
  • float( ) : 문자열, 정수 => 소수로 변환한다.
  • str( ) : 숫자 => 문자열로 변환한다.

 

 

 

문자열 포매팅

    문자열 안에 특정 값을 바꿔야 할 때 사용한다.

 

    방법1. (%)

        '문자열 %s 문자열 %d'

        자세히 알고 싶다면 포맷 코드 찾아보자.

 

      방법2. (format 메소드)

print('문자열 { 1 } { 0:.2f } 문자열.format(2.584, 11)')

#.2f: 소수 2번째자리까지 반환
#{숫자}: format의 변수가 들어가는 순서를 지정

문자열 {11} {2.58} 문자열  #출력

 

    방법3. (f-string)

        f'문자열 {변수} 문자열'

            문자열 앞에 f를 붙이면 백틱과 유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형-3.5 튜플(tuple)  (0) 2023.03.21
[Python] 자료형-3 리스트  (0) 2023.03.21
[Python] 자료형 -2 문자열(string)  (0) 2023.03.21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  (0) 2023.03.21
[Python] 자료형 -0  (0) 2023.03.21

문자열이란?

    문자나 단어로 구성된 문자의 집합

 

 

문자열 사용법

    기본적으로 따옴표(", ')를 사용해 문자를 표기해 준다. 시작하는 따옴표와 끝나는 따옴표가 같아야 한다.

    예외) 따옴표를 섞어서 입력 해야 할 때, 문자열을 명시하는 따옴표를 제외한 문자열 안의 따옴표 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야 한다. ex) print("I\'m your father.")

 

    *문자열 출력과 관련된 내용이 궁금하다면 에스케이프 코드를 찾아보자

 

 

문자열 함수

    len('문자')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한다.

 

    문자열.count('문자') : 문자가 문자열에 몇개 들어가있는지 세준다.

 

    문자열.find('문자') :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

    문자열.index('문자') :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

        *find와 index의 차이는 find는 문자가 존재하지 않을 시 -1을, index는 에러를 냅니다.

 

    문자열*숫자 : 숫자만큼 문자열이 여러번 출력된다.

 

    문자열.upper( )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꿔 준다.

    문자열.lower( )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꿔 준다.

 

    문자.join(문자열) : 문자열 사이 사이에 문자를 삽입한다.

    문자열.split('문자') : 문자열을 나눈다. split( )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화이트 스페이스를 기준으로 나눠진다. 

    문자열[0:2] : 0~2번째까지 문자만 가져온다.

 

    type(변수) : 자료형을 확인하는데, 주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가 어떤 형식인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문자열.replace('얘를', '얘로 변경') : 문자열을 변경한다.

 

   문자열.strip( ) : 앞뒤로 있는 화이트 스페이스를 삭제한다.

 

 

 

화이트 스페이스란?

    스페이스(  ), 엔터(\n), 탭(\t) 등의 공백을 의미한다.

 

참고

    파이썬 주석은 #과 큰 따옴표 세개 ("'"), 작은 따옴표 세개(''')를 사용한다.

    문자열의 요소값은 재정의해도 바꿀 수 없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형-3 리스트  (0) 2023.03.21
[Python] 자료형 -2.5 형 변환과 문자열 포매팅  (0) 2023.03.21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  (0) 2023.03.21
[Python] 자료형 -0  (0) 2023.03.21
[Python] 변수 유효 범위  (0) 2023.03.21

숫자형은 뜻 그대로 숫자 형태의 자료를 말합니다.

 

숫자형 종류

    정수(integer), 소수(floating point)

 

연산

    사칙연산은 알고 계신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 나머지: 백분율 기호(%)로 표기합니다.                      ex) 10%3   #1
  • 거듭제곱 : 별 두개(**)로 표기합니다.                         ex) 2**3     #8
  • 버림 나눗셈 : 나누기 기호 두개(//)로 표기합니다.   ex) 8//3      #2

         *반올림 함수 : round( )

    

주의할 점

    연산하는 두 숫자 중에 하나라도 소수인경우 연산 값도 소수로 출력됩니다.
        ※ 나눗셈의 경우 무조건 소수로 출력※

파이썬에 들어가기 앞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변수

        파이썬에서는 선언자(var, let, const 등) 없이 변수를 사용한다.

    형태

Lion = Cats

 

 

두가지만 정리하고 넘어가자.

 

첫째, 파이썬은 선언자 없이 사용한다.

둘째, 파이썬에서는❌문자열과 숫자를 직접 연결 할 수 없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형 -2 문자열(string)  (0) 2023.03.21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  (0) 2023.03.21
[Python] 변수 유효 범위  (0) 2023.03.21
[Python] 파이썬 규칙과 가상환경(venv)  (0) 2023.03.21
템플릿 상속  (0) 2023.03.14

 

변수 유효 범위(variable scope)

    변수는 어디에 선언했냐에 따라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다르다.

 

    1. 지역 변수(local variable) : 함수 안에서 선언되어 함수안에서만 사용

    2. 전역 변수(global variable) : 함수 밖에서 선언되어 어디서든 사용 가능

num = 10

def func():
	num = 55
	print(num)

func() #출력값 55
print(num) #출력값 10

 

    위의 코드에서 보듯이 함수 안에서 글로벌 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파이썬은 이것을 로컬 변수로 인식한다. 지역 변수로 선언된 변수 앞에  global을 사용하면 전역 변수로 재선언 할 수 있지만,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함수의 결과값 가져와 다른 함수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num = 10

def func(): # 1.55를 return하고
	return 55
    
def func2(num_result): # 4.함수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print(num_result)
    
num_result = func() # 2.변수에 저장
func2(num_result) # 3.func2의 인자로 넘기고

 


 

 

리턴 타입
    글로벌 함수를 재선언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와 같다. 기존 데이터를 변환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고, 데이터를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황에 따라 잘 판단해야 한다.


sort   vs   sorted (정렬 함수)

sort_list = ['C', 'o', 'm', 'e', 'b', 'a', 'c', 'k', 'H', 'o', 'm', 'e']

sorted_list = ['G', 'o', 'A', 'w', 'a', 'y']

sort_list.sort()
print(sort_list) 
# 출력값 : ['C', 'H', 'a', 'b', 'c', 'e', 'e', 'k', 'm', 'm', 'o', 'o']

print(sorted(sorted_list)) #출력값 : ['A', 'G', 'a', 'o', 'w', 'y']
print(sorted_list) #출력값 : ['G', 'o', 'A', 'w', 'a', 'y']

sort는 기존 리스트 변형하여 정려한다. sorted는 기존 리스트를 변화시키지 않고 새로운 정렬한 리스트를 리턴한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  (0) 2023.03.21
[Python] 자료형 -0  (0) 2023.03.21
[Python] 파이썬 규칙과 가상환경(venv)  (0) 2023.03.21
템플릿 상속  (0) 2023.03.14
Flask 서버  (0) 2023.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