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디텍터리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해줍니다.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려 줍니다.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을 확인하고, 이번에는 커밋을 해줍니다.

텍스트 박스 제일 윗줄은 커밋의 제목이 되고 내용은 한 줄 띄고 작성합니다.

내용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해봅니다.

 

커밋 한 내용은 스테이지에서 사라집니다.

수정한 파일은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로 나타납니다.

클릭하면 수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두개의 파일도 커밋하여 총 세개의 버전을 만들어 줬습니다.

커밋을 통해 세 개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기본설정  (0) 2023.03.25
[Git] 깃과 깃허브 개념  (0) 2023.03.15

소스트리 설치 후 create를 눌러 폴더를 지정합니다.

이때 탐색폴더와 저장소 이름이 같은 필요는 없지만 똑같이 쓰는 것을 추천힙니다.

저장소를 만들고나면 폴더에 숨김파일이 하나 생성됩니다.

숨김 폴더는 보기탭의 옵션 -> 보기의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를 체크하면 볼 수 있습니다.

이제 .git 폴더가 위치한 이 폴더(Github)가 작업 디렉터리가 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버전 추가  (0) 2023.03.25
[Git] 깃과 깃허브 개념  (0) 2023.03.15

프로그램

    자료구조(데이터) + 알고리즘

 

추상화란?

    필요한 정보만 코드로 옮긴 것을 말한다.

 

 

 

자료구조

    데이터가 저장된 형태. 어떻게 자료를 저장해야 효율적일까?

알고리즘

    해결을 위한 방법.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지?

  • 자료구조는 메소드로 탐색, 삽입, 삭제의 연산이 들어가야 한다.
  • 알고리즘을 구현하려면 자료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언젠가 들었던 글귀이다. 이름이 다르면 다른거다. 혼용해서 쓰고 있는 단어들도 자세히 들어가면 다른점을 분명하게 가지고 있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넓게 보는 시각은 분명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개념이 잡혔다면 디테일을 잡아야한다.

 

 



클래스

  • 객체는 인스턴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Setter는 값을 수정, Getter는 값을 조회하는 메소드를 말한다.
  • 인스턴스가 속성을 조회하거나 삭제하려면 메소드를 거쳐야 한다.
  • 보안과 데이터 변조 위험성 때문이다.
  • 파이썬은 접근지정자(public, private 등)가 없다.
  • 메소드 앞에 __(언더바 2개)를 붙여 은닉화한다.
  • 재귀호출(Recursion)은 함수 또는 메소드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말한다.
  •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 데이터를 보관하는 곳을 노드(Node)라고 한다.

 

 내용이야 어쨌든 처음 다짐했던 원서 읽기가 끝나서 마음이 편하다. 단편 소설이 끝났으니 다음엔 중장편 소설을 시작해도 괜찮을 것 같다. 확실히 e북으로 공부하면 모르는 내용을 검색하기도 편하고 메모하기도 편해 좋은 것 같다.

 

 일본어 공부가 하고 싶은데 도전할 마음이 들지 않는다면 아주 짧은 단편 소설(레벨에 따라서는 동화도 괜찮다.)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단어장

더보기
  • にやにや : 히죽히죽
  • なみなみ : 찰랑찰랑
  • ぐいぐい : 꿀꺽꿀꺽
  • 仰向け : 위를 향함
  • 一眠り : 잠깐 잠
  • まつげ : 속눈썹
  • しきり : 종종
  • パチパチ : 깜박깜박
  • 到り : 이르다
  • 恐怖 : 공포
  • 尽き : 끝남
  • 覚める
  • ちろちろ : 빛이나 불꽃이 가늘고 약한 모양
  • 燃える : 불타다
  • 行く
  • 五体 : 온몸
  • 熱い
  • ずんずん : 부쩍부쩍
  • 大胆 : 대담
  •  溜息
  • 脱いだ
  • 覚悟
  • 身悶え : 몸부림
  • 左右
  • じじ : 때때로
  • みるみる : 순식간에
  • いじけて : 위축되어
  • しらじら : 희끄무레하게
  • 薄明かり : 어스름
  • 身支度 : 몸치장

 

'책 리뷰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원서 읽기 : 아침 2일차  (1) 2023.03.24
일본어 원서 읽기 : 아침 1일차  (1) 2023.03.23

syntactic sugar

    코드를 간단하게 줄여준다.

 


1. 다중할당

    여러 변수에 값을 한꺼번에 할당할 수 있다.

cat = dog = bird = "animal"

 

2. 변수값 바꾸기(Swap)

# 두 변수의 값을 교환하기 위해 빈공간에 넣었다가 치환해줌

temp = ''
food = "chair"
furniture = "banana"
print(food, furniture)

temp = food
food = furniture
furniture = food
print(food, furniture)

  파이썬은 변수값을 바로 넘겨 줄 수 있음

temp = 'chair'
food = ''
furniture = 'banana'

print(f'temp: {temp}, food: {food}, furniture: {furniture}')

temp, food, furniture = food, furniture, temp
# 변수명 = 변수명이 갖게될 값

print(f'temp: {temp}, food: {food}, furniture: {furniture}')

 


 

3. FT

    int(False) = 0, int(True) = 1을 갖는다.

print('Phone'[False])  # 출력값 P
print('Phone'[True])   # 출력값 h

   ...쓸 일이 있을까?

 

 


 

4. 비교 연산자 합치기

def get_out(age):
    if 0 < age < 20:
        print("집에 가라")


get_out(12)

 


 

 

5. 삼항 연산자

def catch(mouse):
    mouse = [print("잡았다") if 0 < mouse < 3 else print("놓쳤다")]
    #  x  = [  if_실행문    if    if_조건문   esle   else_실행문]

catch(5)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넘파이(Numpy)  (0) 2023.04.16
[Python] return과 print  (1) 2023.03.24
[Python] 데코레이터(Decorator)  (0) 2023.03.23
[Python] 클로저(Closure)  (0) 2023.03.23
[Python] 클래스 if __name__ =="__main__":  (0) 2023.03.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