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로 연결할 것이며, 깃허브와 연동하기 위해 git bash를 사용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어있는 곳이 있습니다.

ssh-keygen

위의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엔터를 세번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빨간 박스 부분을 복사하시고 cat을 입력 후 붙여넣기 하세요

cat (/c/ 빨간 박스부분 붙여넣기 /.pub)

다 하셨으면 git bash를 끄지마시고 깃허브로 들어옵니다.

설정  =>  SSH and GPG keys를 클릭합니다.

 

 

New SSH key를 클릭합니다.

 

 

Title은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Key는 아까 git bash에서 cat을 입력하시고 난 후 받은 ssh-rsa ~엄청 긴 코드~를 여기에 붙여넣기 합니다.

Add SSH key를 눌러 등록합니다.

 

 

도구  =>  옵션 창을 띄웁니다.

SSH 클라이언트를 OpenSSH로 바꾸면 SSH 키가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Remote  => 계정 추가  =>  화면에 맞게 설정을 바꾸시고 OAurth 토큰 새로고침을 눌러주세요.

 

 

새로고침을 누르면 새 페이지가 열릴텐데 가장 하단에 있는 Authorize atlassian 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인증 성공이 뜬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새로고침을 누르면 깃허브에 올려놓은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패치와 풀  (0) 2023.03.26
[Git] 소스트리 클론과 푸시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재배치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충돌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병합  (1) 2023.03.26

master 파일과 branch파일의 순서를 재배치 할 때 사용합니다.

 

현재 파일은 마스터 파일이 2개, 이후 branch 브랜치를 생성해 파일을 2개, 다시 마스터 파일에 1개를 커밋한 상태입니다.

이상태에서 브랜치를 마스터 main3 파일 뒤로 재배치하고 싶습니다.

즉, 마스터 파일이 3개 위치한 뒤  =>  branch 브랜치 파일이 위치하게 하고 싶습니다.

 

 

옮길 브랜치(저의 경우 branch)에 Head가 위치하도록 설정합니다.

마스터 main3 파일에서 우클릭, 재배치를 눌러줍니다.

 

 

순서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클론과 푸시  (0) 2023.03.26
[Git] 소스트리와 깃허브 연동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충돌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병합  (1)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만들기  (0) 2023.03.26

충돌은?
    병합하려는 브랜치가 같은 파일을 다르게 수정한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충돌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은

    1.어떤 내용을 선별하여 병합할지 판단합니다.
    2.다시 커밋하면 됩니다.

 

 


우선 충돌 상황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브랜치를 생성한 뒤 main1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여 커밋 합니다.

 

 

이후 헤더를 옮겨 마스터 브랜치의 내용도 수정하고 커밋해줍니다.

 

 

master와 branch모두 각각 수정된 main이라는 파일을 커밋했습니다.

이상태로 병합을 하면 충돌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제 충돌 상황을 해결해봅시다.

 

<<<<<<<HEAD

rewrite main1

======== 

여기까지가 master 갖고 있는 내용입니다.

 

이후

========

rewrite branch

>>>>>>>>> branch

 

 

 

여기까지가 branch가 갖고 있는 내용이죠.

 

 

오렌지색 삼각형 아이콘은 충돌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마우스 클릭,

충돌해결  =>  '내것'을 이용해 해결 : master로 병합, '저장소'것을 사용하여 해결 : 'branch로 병합을 의미합니다.

저는 master 파일로 병합하였습니다.

 

 

작업 디렉터리에 들어가 확인하시면 master 브랜치에서 작성한 내용이 들어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파일 상태로 들어가 커밋 버튼을 눌러줍니다.

 

 

커밋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와 깃허브 연동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재배치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병합  (1)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만들기  (0) 2023.03.26
[Git] 브랜치란?  (0) 2023.03.26

브랜치 병합(merge)에는 두가지 예시가 있습니다.

 

 

1. 빨리감기 병합

마스터 브랜치를 변경하지 않고, 브랜치로만 작업할 후 병합하게되면 빨리감기 하듯이 내용이 업데이트 됩니다.

 

branch  =>  master로 병합하려고 합니다.

병합 기준(master)이 되는 곳에 헤드가 위치하도록 합니다.

branch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후 '현재 브랜치로 branch 병합'을 클릭합니다.

 

 

 

작업 디렉터리에도 병합된 파일 목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커밋에 병합

마스터 브랜치도 업그레이드를 하고 브랜치도 작업한 상황에 병합할 시 새로운 커밋에 병합됩니다.

 

마찬가지로 branch  =>  master로 병합합니다.

병합하는 방법은 1번과 같습니다.

 

master 파일이 2개일때 branch를 생성. branch 파일 2개 커밋, main 파일 1개 커밋한 상황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브랜치 재배치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충돌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만들기  (0) 2023.03.26
[Git] 브랜치란?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임시저장하기  (0) 2023.03.26

브랜치를 클릭하여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새 브렌치 체크아웃 : 브렌치 생성과 동시에 새 브렌치로 작업환경이 옮겨감

 

현재 작업환경을 헤더(o) 표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랜치를 생성하고 또하나의 파일을 커밋해보았습니다.

 

헤더가 브랜치에 있을 때는 작업 디렉터리에 파일이 세 개가 보여집니다.

 

마스터를 더블 클릭하여 헤더를 옮기면 작업 디렉터리에도 두개의 파일만 보여집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충돌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병합  (1) 2023.03.26
[Git] 브랜치란?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임시저장하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