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저장소와 네가지 상호작용

  • 클론(clone) : 깃허브의 파일을 내 컴퓨터로 복제합니다.
  • 푸시(push) : 내 파일을 깃허브에 올리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패치(fetch) : 원격 저장소를 일단 가져만 옵니다.
  • 풀(pull) : 원격 저장소를 가져와서 로컬 저장소와 합칩니다.

 

1. 클론(clone)

원격 저장소 파일을 로컬로 복제합니다.

복제하고 싶은 깃허브의 주소를 가져오세요.

Code  =>  SSH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소스트리로 돌아가서 Clone을 클릭합니다.

아래에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고 탐색을 클릭합니다.

클론 버튼이 활성화 되면 클론 버튼을 누르면 복사가 끝납니다.

 

 

복사한 파일의 .git 폴더까지 같이 복제됩니다.

 

 

main 브랜치와 master 브랜치는 같습니다.

    +깃허브에서 만들어진 master 브랜치의 기본 이름을 main으로 변경했다. 

origin : 원격 저장소의 경로를 지칭하는 별칭 같은 겁니다.

origin/HEAD : origin의 HEAD

origin/main : origin의 main

 

 


 

 

2.푸시(push)

원격 저장소에 밀어넣기습니다.

    1. 원격 저장소를 클론하고 커밋하기

 

클론하면 원격 저장소(깃허브)와 연동됩니다.

 

 

Push 버튼을 눌러 커밋한 내용을 푸시합니다.

 

 

 

    2. 작업한 파일을 새 원격 저장소에 푸시하기

 

커밋을 이미 한 파일들이 존재하며, 이것을 새 저장소에 푸시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먼저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원격 이름을 설정하고 URL에 저장소 주소를 붙여넣습니다.

1번처럼 Push버튼으로 커밋한 내용을 넣어주면 깃허브에서 내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풀 리퀘스트  (0) 2023.03.26
[Git] 소스트리 패치와 풀  (0) 2023.03.26
[Git] 소스트리와 깃허브 연동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브랜치 재배치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충돌  (0) 2023.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