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을 하다보면 지우고 싶지도 않고, 새 버전으로 업로드하고 싶지도 않은 파일을 만들게 됩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임시 저장(스태시) 기능 입니다. 

스테이지에 파일을 올리지 않고 스태시를 클릭합니다.

스태시의 이름을 지정해줍니다.

임시 저장 파일이 저장 됩니다.

임시 파일의 내용 중 '오늘의 일기 오늘은 어제가 되었다 ㅋ' 부분을 잘 봐주세요.

 

스테이지로 돌아와 보면 새로운 파일이 없습니다.

그리고 작업 디렉터리(내 폴더)의 파일을 열어보면 신기하게도 '오늘의 일기 오늘은 어제가 되었다 ㅋ' 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시 저장을 하고 나면 파일은 수정하기 전 상태로 돌아가 있고 스테이지에도 변경사항이 뜨지 않게 됩니다.

임시 저장한 파일을 불러오거나 삭제할 수 도 있습니다.

스태시 적용을 클릭하면 임시 파일(스태시 파일)이 스테이지로 되돌아갑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브랜치 만들기  (0) 2023.03.26
[Git] 브랜치란?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버전 되돌리는 방법

    revert(리버트)

        옛날 버전을 유지하고 새파일에 옛날 버전을 가져와 저장합니다.
    reset(리셋)

        백업한 파일로 복원시키는 개념입니다. 백업 시점 이후의 파일을 모두 날립니다.

 

 

버전을 리셋 시키는 방법은 생성하는 방법과 반대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버전 리셋 : 커밋 -> 스테이지 -> 작업 디렉터리

 

 

reset 
    1. soft : 커밋한 사실만 되돌립니다.
    2. mixed : 스테이지 추가한 사실까지 되돌립니다.
    3. hard : 작업 디렉터리에서 변경 사항을 생성한 사실까지 되돌립니다.

 


 

먼저 revert로 되돌리는 방법입니다.

가장 최신 버전에서 우크릭하여 커밋 되돌리기를 누릅니다.

다음 보시는 것과 같이 Revert가 붙은 새 버전이 생성됩니다.

다음은 reset에 대한 방법입니다.

되돌리고 싶은 버전을 우클릭한 뒤 이 커밋까지 현재 브랜치를 초기화를 누릅니다.

우선 커밋한 사실만 되돌리는 Soft reset을 해보겠습니다.

Soft로 리셋할 경우 스테이지에 올라가 있는 새로운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xed의 경우 스테이지에 올린 사실도 되돌리므로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로 확인됩니다.
hard의 경우 스테이지에서 새로운 파일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브랜치란?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임시저장하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버전 추가  (0) 2023.03.25

생성한 커밋 바로 전의 버전과 비교하기

 

버전을 클릭하면 오른쪽 아래 삭제된 것은 빨강, 추가된 글은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내가 원하는 버전끼리 비교하기

ctrl + 클릭 : 비교할 버전을 선택합니다.

왼쪽 아래 확인하고 싶은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오른쪽 아래 변경사항을 표시해줍니다.

 

옛날 버전의 파일 확인하기

 

열고자하는 파일을 클릭하면 왼쪽아래 파일 목록이 보입니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선택한 버전 열기를 클릭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임시저장하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버전 추가  (0) 2023.03.25
[Git] 소스트리 기본설정  (0) 2023.03.25

커밋은 각각의 고유한 커밋 해시를 가지고 있습니다.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
    많은 커밋 중에 특정 커밋이 찾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태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앞선 예제처럼 태그 탭이나 오른쪽 마우스 클릭으로 팝업창을 띄웁니다.

해당하는 태그를 선택하고 제거하면 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버전 추가  (0) 2023.03.25
[Git] 소스트리 기본설정  (0) 2023.03.25
[Git] 깃과 깃허브 개념  (0) 2023.03.15

작업 디텍터리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해줍니다.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려 줍니다.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을 확인하고, 이번에는 커밋을 해줍니다.

텍스트 박스 제일 윗줄은 커밋의 제목이 되고 내용은 한 줄 띄고 작성합니다.

내용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해봅니다.

 

커밋 한 내용은 스테이지에서 사라집니다.

수정한 파일은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로 나타납니다.

클릭하면 수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두개의 파일도 커밋하여 총 세개의 버전을 만들어 줬습니다.

커밋을 통해 세 개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기본설정  (0) 2023.03.25
[Git] 깃과 깃허브 개념  (0) 2023.03.15

소스트리 설치 후 create를 눌러 폴더를 지정합니다.

이때 탐색폴더와 저장소 이름이 같은 필요는 없지만 똑같이 쓰는 것을 추천힙니다.

저장소를 만들고나면 폴더에 숨김파일이 하나 생성됩니다.

숨김 폴더는 보기탭의 옵션 -> 보기의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를 체크하면 볼 수 있습니다.

이제 .git 폴더가 위치한 이 폴더(Github)가 작업 디렉터리가 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버전 추가  (0) 2023.03.25
[Git] 깃과 깃허브 개념  (0) 2023.03.15

 

깃을 사용하지 않으면,

  • 변경 내역 확인이 어렵다
  • 작업을 되돌리기 어렵다
  • 협력하기 어렵다

 

버전(=커밋)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나온 것

 

 

깃허브란?

    원격 저장소(= repository) 호스팅 서비스

     => 인터넷 상에서 깃으로 관리한 프로젝트를 관리해주는 웹 서비스

 

 

깃이 관리하는 세 개의 공간

    작업 디렉터리 (=워킹트리) : 버전 관리의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 (.git이 있는 디렉터리)

    스테이지 : 가상의 공간. 다음 버전이 될 후보가 올라가는 공간

    저장소: 가상의 공간. 버전이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공간

 

 

과정 : 작업 디렉터리 -add-> 스테이지 -commit-> 저장소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소스트리 버전 되돌리기  (0) 2023.03.26
[Git] 소스트리 버전 관리  (0) 2023.03.25
[Git] 소스트리 커밋해시, 태그  (0) 2023.03.25
[Git] 소스트리 버전 추가  (0) 2023.03.25
[Git] 소스트리 기본설정  (0) 2023.03.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