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이란?
문자나 단어로 구성된 문자의 집합
문자열 사용법
기본적으로 따옴표(", ')를 사용해 문자를 표기해 준다. 시작하는 따옴표와 끝나는 따옴표가 같아야 한다.
예외) 따옴표를 섞어서 입력 해야 할 때, 문자열을 명시하는 따옴표를 제외한 문자열 안의 따옴표 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야 한다. ex) print("I\'m your father.")
*문자열 출력과 관련된 내용이 궁금하다면 에스케이프 코드를 찾아보자
문자열 함수
len('문자')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한다.
문자열.count('문자') : 문자가 문자열에 몇개 들어가있는지 세준다.
문자열.find('문자') :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
문자열.index('문자') :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를 반환한다.
*find와 index의 차이는 find는 문자가 존재하지 않을 시 -1을, index는 에러를 냅니다.
문자열*숫자 : 숫자만큼 문자열이 여러번 출력된다.
문자열.upper( )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꿔 준다.
문자열.lower( )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꿔 준다.
문자.join(문자열) : 문자열 사이 사이에 문자를 삽입한다.
문자열.split('문자') : 문자열을 나눈다. split( )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화이트 스페이스를 기준으로 나눠진다.
문자열[0:2] : 0~2번째까지 문자만 가져온다.
type(변수) : 자료형을 확인하는데, 주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가 어떤 형식인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문자열.replace('얘를', '얘로 변경') : 문자열을 변경한다.
문자열.strip( ) : 앞뒤로 있는 화이트 스페이스를 삭제한다.
화이트 스페이스란?
스페이스( ), 엔터(\n), 탭(\t) 등의 공백을 의미한다.
참고
파이썬 주석은 #과 큰 따옴표 세개 ("'"), 작은 따옴표 세개(''')를 사용한다.
문자열의 요소값은 재정의해도 바꿀 수 없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형-3 리스트 (0) | 2023.03.21 |
---|---|
[Python] 자료형 -2.5 형 변환과 문자열 포매팅 (0) | 2023.03.21 |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 (0) | 2023.03.21 |
[Python] 자료형 -0 (0) | 2023.03.21 |
[Python] 변수 유효 범위 (0) | 2023.03.21 |